불안과 두려운도 생각을 바꾸면 통제할 수 있다 본문
불안과 두려운도 생각을 바꾸면 통제할 수 있다. [불안버리기中에서]
어떤 상황에서 보이는 반응은 그 상황 자체 때문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명심하자.
1950년대에 있었던 일입니다. 영국의 컨테이너 운반선 한 척이 활물을 양륙하기 위해 스코틀랜드의 한 항구에 닻을 내렸습니다. 한 선원이 확인차 어떤 냉동 컨테이너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이 사실을 몰랐던 다른 선원이 밖에서 컨테이너 문을 닫아버렸습니다. 안에 갇힌 선원은 필사적으로 문을 두드렸지만 아무도 그 소리를 듣지 못했고 결국 배는 다시 포르투갈을 향해 떠나고 말았습니다.
다행히 컨테이너 안에는 식량이 충분히 있었습니다. 그러나 선원은 자기가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도 그는 힘을 내 쇳조각 하나를 들고 컨테이너 벽 위에 자신의 이야기를 시간별 날짜별로 새겨 나갔습니다. 추위가 몸을 마비시키는 과정을 적었고 언 부위가 상처로 변해가는 과정을 묘사했으며 온몸이 조금씩 굳어지면서 하나의 얼음 덩어리로 변해가는 과정을 차례대로 기록했습니다.
배가 리스본에 도착했을 때 냉동 컨테이너의 문을 연 선장은 죽어 있는 선원을 발견했습니다. 선장은 벽에 꼼꼼하게 새겨놓은 고통의 일기를 읽었습니다. 그러나 정작 놀라운 것은 그것이 아니었습니다. 선장이 컨테이너 안의 온도를 재보니 온도계는 섭씨 19도를 가리키고 있었습니다. 그곳은 화물이 들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스코틀랜드에서 돌아오는 동안 냉동장치가 작동하고 있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 선원은 단지 자기가 춥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죽은 것입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쓴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에 있는 생각의 힘이라는 글입니다. 상황은 위험하지 않지만 추워서 얼어 죽을 것이라는 생각이 한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보여주는 다소 극단적인 사례입니다. 만약 그 선원이 상황을 다르게 해석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어짜피 나가지는 못하지만 포르투갈에 가면 결국 사람들이 구해줄 것이고 식량도 많고 얼어 죽을 만큼 추운것도 아니니까 기왕 이렇게 된것 불편하지만 참아보자라고 생각했다면 어떤 결과가 있었을까요? 아마 그 선원은 죽음까지 이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인지모델-
인지모델은 사람들이 어떤 상황에서 보이는 감정적인 반응 신체적인 반응 행동적인 반응이 그 상황 자체에 의해서 반응하는 것이아니라 그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생각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막을 건너는 두 사람이 있습니다. 두사람에게 모두 사막을 건널 수 있는 똑같은 양의 물을 주었습니다. 사막을 반 정도 건넜을때 두사람의 수통에는 물이 반이 남았습니다. (중략)
이때 A라는 사람은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물이 반밖에 남지 않았네(생각) 그 순간 그 사람은 불안(감정)해지기 시작했습니다. 불안감은 A를 흥분시켰습니다. 맥박이 빨라졌고 몸에 힘이 들어가고 긴장하게 되었습니다. 침이 마르고 입이 바짝바짝 타기 시작했습니다. 호흡도 점점 거칠어졌습니다(신체적변화). 흥분은 생체기능을 항진시켰고 몸의 운동량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자연스럽게 소모되는 몸의 수분 양도 늘어났고 마셔야 하는 물의 양도 늘어났습니다. 사막을 건너기 위해 규칙적으로 일정하게 물을 마시던 A는 물이 반밖에 남지 않았다라고 생각하면서 물을 마시는 속도가 더 빨라졌고(행동) 사막을 다 건너기도 전에 물이 없어졌습니다.
반면 B라는 사람은 같은 상황속에서 수통을 보고 아직 물이 반이나 남았네라고 생각했습니다(생각). 반이나 남았다는 생각으로 마음에 여유가 있게 되었고 안도감(감정)이 생겼습니다. 생체반응도 안정되게 유지되었고 원래 마시던 속도대로 규칙적으로 물을 소비 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B라는 사람은 예정대로 어려움없이 사막을 건널 수 있었습니다.
A와 B는 사실 동일한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생각을 했고 다른 생각은 다른 감정 다른 신체변화 다른 행동으로 이어졌습니다. 결국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만들었습니다. 이처럼 어떤 상황에서 사람들이 보이는 반응은 상황 자체보다는 상황을 바라보는 해석이나 생각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원효대사는 지친 몸으로 동굴에서 잠을 자면서 잠결에 목이 말라 주변을 더듬었고 바가지에 있는 물을 마시고 편안하게 단잠을 잤습니다. 그렇지만 아침 햇살에 자신이 마신 물이 바가지에 있는 깨끗한 물이 아니라 해골에 있던 지저분한 물이란 것을 알고 놀라서 마신 물을 토해내려 했고 허둥지둥 동굴을 뛰쳐나왔습니다. 한참을 도망치듯이 내려오다가 문득 똑같은 물을 바가지에 깨끗한 물로 생각할 때와 해골에 썩은 물이라고 해석할 때 너무도 다른 자신의 감정, 신체반응, 행동을 보고 인간사 마음먹기 나름이라는 일체유심조의 깨우침을 얻었습니다.
우리가 평소 경험하는 수많은 불안과 공포도 원효대사의 경험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우리가 느끼는 불안과 공포에 대해 인지모델이나 일체유심조의 관점을 접목할 수 있다면 불안과 공포에 압도되어 어쩔 줄 모르는 것이 아니라 불안과 공포를 통제하고 조절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인간은 사물로 인해 고통받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이는 관점으로 인해 고통받는다. 스토아학파와 마찬가지고 도교, 불교등의 동양철학에서도 인간의 감정은 생각에 기초한다고 강조해왔다. 아무리 강렬한 감정이라도 생각을 바꾸면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에픽테토스의 말을 늘 기억합시다.!!
이처럼 생각에 따라서 감정이 변함을 알수 있죠?? ㅎㅎ 물론 평범한 예는 아닙니다만.. 그래도
불안도 감정도 다 통제 할수있습니다. 말처럼 쉽지 않지만 그래도 가능하다는 희망을 가지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의 매우 특별한 경찰차 (0) | 2018.02.13 |
---|---|
가속도가 가장 빠른 SUV 탑 10 (일명 제로백) (0) | 2018.02.12 |
미스테리 사진들의 진실 (2) | 2018.02.10 |
신경안정제 복용량 및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 | 2018.02.10 |
2017년 분야별 최고의 소비자 만족 자동차 (0) | 2018.02.09 |